금불초

이재경
2003-01-20 10:37
3,499
0
본문
번지는 속도가 매우 빠르고 살리기보다 죽이기가 더 어렵다는 급불초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금불초(비추천명 : 하국)
분류 : 국화과 / 여러해살이풀
개화시기 : 7~9월 개화
크기 : 20~60cm
학명 : Inula britannica var. japonica (Thunb.) Franch.&Sav.
이명
Inula japonica Thunb.
잎 : 뿌리에서 난 잎은 꽃이 필 때 고사하며 보다 소형으로 어긋나기하며 넓은 피침형 또는 장 타원형으로 길이 5~10cm,
줄기에서 난 잎은 끝이 뾰족하며 밑에서 갑자기 좁아져 줄기를 약간 감싸고,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양면에 누운털이 있거나 없다.
엽질은 얇은 편이고, 주맥 이외의 맥은 흐릿하다.(비교: 버들금불초(Inula salicina var. asiatica)는 뒷면 맥이 뚜렷하게 튀어나온다.)
꽃 : 가지와 줄기 끝에서 고른꽃차례(산방상)로 피며 황색이다. 지름은 3~4cm정도이고 총포는 반구형, 포편은 5열로 배열하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.
열매 : 여윈열매로 털이 있다. (버들금불초는 털이 없음)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금불초는 옷풀, 들국화, 하국(夏菊), 하국꽃, 금잔화, 금비초 등으로도 불리는데, 특히 '황금 부처 꽃'이라는 의미의 금불화(金佛花)는
꽃차례가 모두 위로 향하면서 불단의 주위를 장식하는 꽃을 연상할 수 있습니다.
『향약집성방』에서는 향명으로 하국이라 기록되어 있고, 이는 여름국화라는 뜻입니다.
대부분의 국화는 가을에 피지만 금불초는 음력 여름인 6월,7월(양력 7월~9월)에 꽃이 피기 때문입니다.
또한, 옷풀이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금불초는 향기나는 꽃입니다. 옛말에 '옷곳하다'라는 말이 '향기롭다'는 뜻입니다.
금불초는 세계적으로 약 90여종이 있고,
국내에는 가는금불초, 가지금불초, 갯금불초, 긴갯금불초 등 약 7여종이 전국에 분포되어 있습니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금불초(비추천명 : 하국)
분류 : 국화과 / 여러해살이풀
개화시기 : 7~9월 개화
크기 : 20~60cm
학명 : Inula britannica var. japonica (Thunb.) Franch.&Sav.
이명
Inula japonica Thunb.
잎 : 뿌리에서 난 잎은 꽃이 필 때 고사하며 보다 소형으로 어긋나기하며 넓은 피침형 또는 장 타원형으로 길이 5~10cm,
줄기에서 난 잎은 끝이 뾰족하며 밑에서 갑자기 좁아져 줄기를 약간 감싸고,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양면에 누운털이 있거나 없다.
엽질은 얇은 편이고, 주맥 이외의 맥은 흐릿하다.(비교: 버들금불초(Inula salicina var. asiatica)는 뒷면 맥이 뚜렷하게 튀어나온다.)
꽃 : 가지와 줄기 끝에서 고른꽃차례(산방상)로 피며 황색이다. 지름은 3~4cm정도이고 총포는 반구형, 포편은 5열로 배열하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.
열매 : 여윈열매로 털이 있다. (버들금불초는 털이 없음)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금불초는 옷풀, 들국화, 하국(夏菊), 하국꽃, 금잔화, 금비초 등으로도 불리는데, 특히 '황금 부처 꽃'이라는 의미의 금불화(金佛花)는
꽃차례가 모두 위로 향하면서 불단의 주위를 장식하는 꽃을 연상할 수 있습니다.
『향약집성방』에서는 향명으로 하국이라 기록되어 있고, 이는 여름국화라는 뜻입니다.
대부분의 국화는 가을에 피지만 금불초는 음력 여름인 6월,7월(양력 7월~9월)에 꽃이 피기 때문입니다.
또한, 옷풀이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금불초는 향기나는 꽃입니다. 옛말에 '옷곳하다'라는 말이 '향기롭다'는 뜻입니다.
금불초는 세계적으로 약 90여종이 있고,
국내에는 가는금불초, 가지금불초, 갯금불초, 긴갯금불초 등 약 7여종이 전국에 분포되어 있습니다.
댓글목록0